여러분, 안녕하세요! 오늘은 금괴 중량을 돈수로 환산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해요. 금 중량은 주얼리를 구매하실 때 정말 중요한 부분이죠. 그런데 대부분의 분들이 그램(g) 보다는 돈수에 더 익숙하신 것 같아요. 그래서 오늘은 금 중량을 돈수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
금 중량을 돈수로 계산하는 방법
금 중량(g)을 돈수로 환산하는 건 정말 쉬워요. 금 1돈은 약 3.75g이라는 사실만 알면 되죠. 그럼 금 중량(g)을 3.75로 나누기만 하면 돈수를 알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5.6g 제품은 5.6 ÷ 3.75 = 1.49돈이 되고, 2.34g 제품은 2.34 ÷ 3.75 = 0.624돈이 되는 거죠. 반대로 돈수를 중량(g)으로 바꾸려면 돈수에 3.75를 곱하면 돼요. 2돈 제품은 2 x 3.75 = 7.5g, 1.5돈 제품은 1.5 x 3.75 = 5.625g이 되는 거죠.
18K와 24K 금의 차이는?
금 중량과 돈수를 계산하는 것 말고도 알아두면 좋은 점이 있어요. 바로 금의 순도 차이에 대한 것이죠. 일반적으로 주얼리에 많이 쓰이는 18K 금은 순금 함량이 75%예요. 나머지 25%는 다른 금속이 섞여 있죠. 반면 24K 금은 100% 순금이에요. 순도가 높은 24K가 더 비싸지만, 상대적으로 연약해서 주얼리 제작에는 18K가 더 많이 쓰입니다. 가격과 강도의 적절한 균형을 위해 18K 금이 선호되는 거죠.
금 한돈과 한냥, 어떻게 다를까요?
우리나라 전통 단위로 금 한돈과 한냥이 있는데, 이 둘의 차이도 알아두면 좋습니다. 금 한돈은 약 3.75g이고, 금 한냥은 10돈, 즉 37.5g이에요. 그래서 금 한냥은 금 한돈의 10배에 해당합니다. 과거에는 금 한냥이 주로 사용됐지만, 요즘엔 g 단위나 돈수 단위로 더 많이 표기되는 추세예요. 하지만 여전히 한돈과 한냥이라는 단어는 금 거래에서 많이 쓰이고 있죠.
금 중량과 돈수, 이렇게 계산해 보세요!
오늘 함께 살펴본 내용을 정리해보면, 금 중량(g)을 돈수로 계산하려면 g를 3.75로 나누면 되고, 반대로 돈수를 g로 환산하려면 돈수에 3.75를 곱하면 됩니다. 또한 18K와 24K 금의 차이, 금 한돈과 한냥의 차이도 알아두면 도움이 될 거예요. 금 중량과 돈수 계산은 주얼리를 구매하실 때 꼭 알아두셔야 할 중요한 부분이에요. 이제 금 중량을 돈수로 쉽게 환산할 수 있겠죠? 궁금한 점이나 추가로 알고 싶으신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연락 주세요. 도와드리겠습니다. 감사합니다!
댓글